사회복지시설 종류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사회복지시설은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및 시설', '노인 복지시설, 여성복지시설, 장애인 복지시설, 저소득층 복지시설, 청소년 복지시설 등 사회 및 복지 사업을 시행할 목적으로 설치된 시설 '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우리 역시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복지관 정도만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 그 외에도 다양한 복지시설이 있습니다.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 공부하시는 분들이 알아두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또 오늘 소개해드리는 내용을 참고해서 나는 이런 분야의 일이 나와 잘 맞겠다고 생각하는 시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회복지시설 종류는 위에서 표에 나와 있는 것처럼 많이 있어, 모두 다 소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서 크게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사회복지시설은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용시설, 생활시설, 의료분야, 모금분여, 사회사업 이렇게 나눌 수 있습니다.
1. 이용시설
첫 번째로 이용시설입니다. 이용시설에는 지역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방과 후 교실, 여성회관(여성 새로 일하기 센터), 주(야) 간보호센터, 자원봉사센터 등 이렇게 세부기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복지관은 종합사회복지관, 최근에서 사회복지관으로 많이 불립니다. 각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을 대상으로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용시설입니다. 지역사회복지관은 주민들의 복지를 향상하기 위한 사업인 문화여가프로그램, 도시락사업, 푸드뱅크 사업등을 하고 있고, 대상이 지역 내 거주하고 있는 주민이다 보니, 하는 일도 굉장히 다양합니다.
노인복지관은 노인(만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취미생활과 사회참여활동(노인일자리사업) 같이 노인복지 정보 또는 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며, 종합적인 노인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입니다. 노인복지관에서는 상담, 사례관리, 건강생활지원, 노년 사회화교육, 사회참여 및 권익증진, 지역사회네트워크, 기획홍보사업, 무료경로식당 사업들이 있습니다.
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치료, 문화여가, 부모교육, 사회참여활동(고용서비스, 장애인일자리사업)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위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은 우리나라 3종 복지관이라고도 하며,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서 진행하는 사업들과 업무들이 조금씩 다르지만 큰 틀에서의 복지서비스 제공은 비슷합니다.
지역아동복지센터는 맞벌이 부모의 자녀들이나, 저소득층, 한부모가정의 자녀들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입니다. 컴퓨터 수업이나, 미술활동, 체육활동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진행합니다.
여성회관(여성 새로 일하기 센터)은 여성(경력단절여성)의 능력개발을 하는 직업훈련이나 단기 부업 그리고 취업을 위해서 자격증 취득 교육 등을 제공해서 저소득층 여성의 자립을 지원하거나,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 여성들이 원활하게 사회에 다시 참여할 수 있도록 진행하며 문화예술 프로그램도 진행합니다.
주(야) 간보호센터는 낮 시간 또는 야간(20~21시)동안 집에 홀로 계시거나, 맞벌이 보호자분들이 집안사정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자녀, 어르신을 보호할 수 없을 때 이용 하는 시설입니다. 주(야) 간 보호센터도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서 진행하는 업무와 프로그램이 차이가 있긴 하나, 주 업무는 이용하는 분들의 케어이며, 식사보조, 간호, 여가프로그램, 재활 서비스 등을 제공합니다.
자원봉사센터는 자원봉사를 필요로 하는 수요처에 연결해 주고, 자원봉사자들이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을 할 수 있게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환경을 조성해주는 기관입니다.
가족센터는 가족정책의 주요 전달체계로서 다양한 가족지원정책을 제안 및 실행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가족 돌봄, 가족교육, 가족상담, 가족문화여가, 다양한 가족 통합지원, 지역사회연계 사업 등을 진행합니다.
위의 이용시설 외에도 서비스 대상이 세분화되면서 이용 시설의 형태는 더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노숙인 쉼터, 청소년쉼터, 1인가구지원센터(서울시), 50 플러스센터(서울시), 직업재활시설 등이 있고, 이렇게 다양한 시설이 생긴다는 것은 사회복지사로서 취업할 곳이 많아진다는 뜻도 되겠습니다.
사회복지시설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이용시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번에는 생활시설, 의료분야, 모금분여, 사회사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변화하는 복지 관련 정책 알아보기 (0) | 2022.12.30 |
---|---|
사회복지시설 2. 생활시설 외 (0) | 2022.12.26 |
2023년 기초연금 쉽게 알아보기 (0) | 2022.12.23 |
2023년 1월 1일 시행되는 부모급여(ft.영아수당, 아동수당) (0) | 2022.12.22 |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방법 (2) | 2022.12.20 |
댓글